[김대호의 경제읽기] 작년 신규 개인 투자자 3명 중 2명 손실<br /><br /><br />지난해 주식시장 뛰어드신분들 많이 있죠.<br /><br />그런데 지난해 신규 개인투자자 3명 가운데 2명은 손실을 봤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어떤 점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세계 각국이 미래 산업의 운명을 쥔 반도체를 놓고 양보 없는 전쟁에 돌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이 어떤 상황에 놓여있는지 앞으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지, 어제 이어서 반도체 시장 전망해봅니다.<br /><br />좀더 자세한 내용 김대호의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도 김대호 박사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 지난해 주식시장에 뛰어든 신규 개인투자자 절반 이상이 손실을 봤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. 손실 투자자 비율은 어떻고, 가장 손해를 많이 본 유형은 누구였나요?<br /><br /> 반면 기존 주식 투자자 61%는 수익을 얻었다고 하는데요. 신규투자자와 기존투자자의 성과에 이런 차이가 발생한 원인은 무엇 때문이었나요?<br /><br /> 어제 미국 백악관이 반도체 부족 사태에 강력히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는 소식 전해드린 바 있는데요. 바이든이 웨이퍼를 들고 했던 "반도체가 인프라"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, 미국의 반도체 투자가 우리 경제에 어떤 경제적 여파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. 간략히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미국의 반도체 투자 요구에 대만 TSMC와 미국 인텔은 발빠르게 화답 했지만 함께 회의에 초청됐던 삼성전자의 고심은 점점 더 깊어지는 모습입니다. 삼성이 차량용 반도체를 생산하게 될 경우 득실은 어떠한가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글로벌 기업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며 그동안 우리가 지켜왔던 메모리 반도체 위상도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. 메모리와 비메모리 반도체는 다른 종류 아닌가요? 반도체 산업 분류에 대해 설명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인텔이 파운드리 진출 계획을 밝혔고, 그래픽처리장치로 유명한 엔비디아도 비메모리 반도체 영토확장에 나섰습니다. 우리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칠텐데요.<br /><br /> 이처럼 글로벌 기업들이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를 강행하며 삼성전자가 세웠던 '2030년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 세계 1위' 목표도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가능성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반도체 패권경쟁이 재점화하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반도체업계의 부담이 커지자 정부에서도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섰습니다. 내일 문 대통령이 반도체와 전기차, 조선 등 주요 전략산업 현황을 점검하고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던데 어떤 이야기가 나올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